그냥, 웃지요
![]() |
![]() |
아부지예!
...? 으응......
깊은 생각에 잠긴 표정으로 거름지고 논과 반대 방향으로 가시던 아버지를 부르니, 무심결에 활짝 웃는 얼굴로 대답을 하시다가 ‘나’라는 것을 알고는 금방 표정이 굳어버리신다. 수심에 찬 모습이나 깊은 생각을 하는 당신의 모습을 남에게 들킨 것이 당황스러웠으나 남이 아닌 나였음을 알고 원래의 표정으로 돌아가셨을 것이다.
혼자 있으면 웃을 일이 없다. 집에 있을 땐 하루종일 웃지 않을뿐더러 무표정이다. 그러나 누구라도 만나면 활짝 웃는 얼굴로 대하고 기분 좋은 모습으로 이야기한다. 누구나 그렇듯이 웃는 모습이 이쁘다고, 웃는 인상이 좋아 보인다고, 그래서 편하다고 한다. 어느 땐가 부터 잘 웃는다는 말을 듣고 있다. 그런 것 같다. 지금 굳은 표정으로 생각에 잠겨 있다가도 누군가 부르면 얼른 웃는 표정을 지으며 행복한 표정을 보일 것이다. 나도 아버지처럼 그 누군가가 아들이라면 금방 무표정한 모습으로 돌아갈지도 모르겠지만...
누군가에게 나의 본 모습을 그대로 보이는 것이 부끄럽고 미안하다. 내 슬픔을 남에게 옮기는 것 같아 죄스럽다. 슬픔은 내뱉지 말고 삼켜야 한다는 내 지론이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야 나를 알고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걱정이나 슬픔을 전염시킬 필요는 없다. 늘 웃고 있으니 늘 행복한 일만 있느냐고? 늘 웃고 있으니 화나는 일이 없느냐고? 그렇게 묻는다면 그냥 웃는다. 웃다 보면 정말 그런 것 같기도 하다. 슬퍼할 일, 화낼 일이 왜 없을까만 내뱉기보다 그냥 삼킨다. 그러나 슬픔을 딛고 밝게 살아간다는 말은 참 듣기 싫다.
고향의 ‘덕곡댁’이는 늘 웃었다. 어린 내 눈에도 그는 늘 웃을 만큼 행복한 사람이 아니었다. 마흔이 되기 전에 남편을 잃고 자식 6남매와 별난 시어머니를 모시고 땟거리도 없이 가난한 삶을 살고 있었다. 그 와중에 스무 살까지 키운 아들마저 잃었다. 하나도 우스울 일이 없는데 웃으면서 말하는 그가 좀 이상하게 보였고 못마땅했다. 남편을 잃고 자식까지 잃었는데 뭐가 저리 좋아서 웃고 있단 말인가? 복숭아 봉지를 싸다가 잠시 쉴 참에 저만치서 담배 한 대 피우는 그의 모습은 지쳐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눈이 마주치면 또 웃었다. '허허'하고 소리 내어 웃는 허허로운 웃음이었다.
아주 오래된 지난 일인데 요즘 문득 그 ‘덕곡댁’의 웃는 모습이 떠오른다. 별로 우습지도 않는 일인데 언제나 '허허' 웃으면서 말하던 그 덕곡댁이의 마음을 알 것 같다. 슬픔이 차오르고 차올라서 주위에 넘쳐흐를까 봐 그렇게 웃음으로 누르고 눌렀을 것이다. 상대방과 말을 할 때 필요 이상 웃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모든 것을 웃음으로 얼버무리는 것은, 배려라는 이름으로 상대방과 부딪치지 않으려는 소심함이나 나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자신 없는 행동은 아닌가? 생각해 보니 그런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슬픔을 전염시키지 않으려는 마음이 가장 크다. 나로 인해 주위 사람들이 걱정하거나 슬퍼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어린 자식과 사위를 잃은 아부지도 남편과 아들을 잃은 덕곡댁이도 마음 한구석엔 늘 슬픔이 가득 고여 있었을 것이다. 혼자 있을 땐 그 슬픔과 함께 온 밤을 밝히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침이 오면 사람들을 만나고 밥을 먹고 그렇게 아무렇지 않은 듯이 행복한 듯이 웃고 있었을 것이다. 내 슬픔을 남에게 전염시키지 말자. 슬픔은 뱉으면 뱉을수록 차오르는 법이니 거르고 걸러서 맑은 슬픔으로 가라앉을 때까지 혼자서 그렇게 삭이는 것이다. 오늘, 웃지 않고 종일 혼자 있으니 아버지의 모습이, 덕곡댁의 모습이 떠오른다.
'나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를 짚어주던 손 (0) | 2014.08.12 |
---|---|
구체화 할 수 없다면 가짜다! / 김정운 (0) | 2014.08.10 |
영화 / 수상한 그녀 (당신은 언제로 돌아가고 싶나요?) (0) | 2014.02.19 |
설날 / 그때를 아십니까? (0) | 2014.01.29 |
소매물도는 말이 없었다 / 안개비에 가린 소매물도 기행 (0) | 2014.01.19 |